» 조류독감 어디까지 퍼졌을까? 사람에게도 옮기나요?

조류독감 어디까지 퍼졌을까? 사람에게도 옮기나요?

목차[펼치기]

최근(25.01.06) 미국에서 사람이 조류 인플루엔자(AI)로 인해 숨진 사건이 화두에 올랐다. 조류 농장, 관련 산업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비상 상황이다.

조류 독감이란?

조류 독감은 조류 인플루엔자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주 감염 대상이 가금류(닭, 오리, 칠면조 등)이다. 이 병은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하는데, 고병원성은 치사율이 높아 매우 치명적이고 저병원성은 치사율은 낮지만 관리는 필요하다. 또한 전염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필수적이다.

아래 표는 2024년 9월 1일부터 2025년 1월 22일까지의 발생 현황(장소, 채취 종류, 날짜)이며, 조류 독감이 추가 발생한 경우 환경부에서 보고서를 업데이트하여 배포하고 있다.

지역종류날짜
군산 만경강 하류분변10.2
용인 청미천포획10.14
제주 용수지폐사체10.17
울산 온산읍폐사체10.26
포천 포천천분변10.29
정읍 정읍천포획11.5
안성 청미천분변10.28
안성 청미천포획11.12
고양 창릉천분변11.13
횡성 섬강폐사체11.18
김해 해반천분변11.25
진천 미호강분변12.3
충주 요도천분변12.3
제주 하도리분변12.4
군산 미제지폐사체12.6
서귀포 성산포분변12.9
서귀포 성산포폐사체12.12
금산 봉황천폐사체12.16
서귀포 일과리폐사체12.14
금산 봉황천폐사체12.19
금산 봉황천폐사체12.20
김제 두월천폐사체12.23
영천 신령천폐사체12.26
서귀포 성산포폐사체12.27
예산 대천천폐사체12.30
금산 봉황천폐사체1.2
금산 봉황천폐사체1.10
금산 봉황천폐사체1.14
화성 황구지천분변1.14
동해산란계10.29
음성육용오리11.7
인천육용종계11.17
영암토종닭11.24
서산육용오리11.25
강진육용오리12.2
세종산란계12.2
김제육용오리12.5
영천산란종계12.11
부안육용오리12.12
청양산란계12.15
부안육용오리12.17
김포산란계12.20
화성토종닭12.21
김제산란계12.22
여주산란계12.25
부안육용오리12.26
진천산란계12.27
음성산란계12.30
여주산란계1.3
김제육용오리1.5
당진육용종계1.9
부안육용오리1.10
음성산란계1.13
창녕육용오리1.13
거창육용오리1.15
담양육용오리1.18
구미종오리1.21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사진: 환경부)

조류 인플루엔자 인체 감염

조류 → 조류 감염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인간에게도 감염이 된다. 주로 조류와의 접촉 또는 감염된 조류의 배설, 분비물에 오염된 사물과의 접촉을 통해 발생되며 아직 국내 인체 감염 사례는 없지만 해외에서는 여러 사례들이 존재한다.

감염 증상으로 발열, 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일반 독감과의 증상과 비슷하다고 한다.

인체 감염 사례

  1. 최근 미국에서 일어난 사례를 보면 65세의 남성이 고병원성(H5N1) 조류 독감에 감염되어 끝내 사망하였다고 보도되었다. 하지만 고령에 기저질환까지 있어 조류 독감이 사망에 100% 영향을 끼쳤다고 말하긴 어렵다.
  2. 지난해(2024) 멕시코에서도 59세의 남성이 감염되어 숨진 사건이 있는 데, 이 남성 역시 고혈압, 당뇨병,  만성 신부전 등의 각종 기저질환이 있었고,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현재 이 바이러스가 일반 대중에 미치는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라는 말을 남겼다.
조류 독감
조류 독감

(기간: 2018년 1월 1일~2022년 4월 20일) 세계보건기구에 정식 보고된 조류 인플루엔자 인체 감염 사례는 총 132명(사망 22명)이었다.

이후 2023년 초~2024년 초 기록을 보면 세계 23개국에서 889건의 인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례가 일어났으며, 그중 463명이 사망하면서 치명률이 52%까지 달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인기 글]

댓글 달기

위로 스크롤